2016년 3월 31일 목요일

3단원 1. 열대 우림 지역에서의 생활



                   1. 열대 우림 지역에서의 생활

                

                 ①. 열대 우림 지역의 자연환경

               열대 우림 기후의 특색은?

               열대 우림 기후: 일 년 내내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많아 덥고 습한 날씨가
                                    되풀이 됨
               -스콜이 내려 잠시 더위를 식혀 주기도 한다
               스콜의 발생 원리: 강한 태양열에 의해 증발한 수증기가 비구름을 형성 하여 
                                      비를 내림
               스콜: 열대 지방에서 대류에 의하여 나타나는 세찬 소나기.(출처: 네이버사전)


스콜의 발생 원리
사진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43566&cid=47334&categoryId=47334

              열대 우림은 어떤 모습일까

              열대 우림은 열대 우림 기후 지역에 발달한 식생
              열대 우림은 일 년 내내 잎이 푸른 나무와 풀이 우거져 밀림 형성
              열대 우림은 강렬한 태양열로 인해 땅이 빠르게 데워지는 것을 막아줌
              열대 우림은 광합성을 통해 대기의 이상화탄소를 산소로 바꾸어 지구의
              허파구실을 함
              -아마존강 유열의 셀바스라고 불리는 열대 우림은 지구 전체 산소의 1/4공급
열대 우림


                   ②. 열대 우림 지역의 생활 양식

             

              열대 우림 지역의 주민들은 어떻게 생활할까

              -열대 우림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가볍고 통풍이 되는 옷을 주로 입음
                ㄴ어떤 지역에서는 옷을 거의 입지 않거나 풀입으로 만든 간단한 옷을 허리에
                   두르기만 함
              -열대 우림 지역은 날씨가 덥고 습해서 음식이 쉽게 상함
                ㄴ이를 막기 위해서 이곳 사람들은 튀겨 먹거나 다양한 향신료 를 사용
              향신료: 향신료는 음식의 부패를 막아주고 식용을 돋운다
              -열대 과일을 즐겨 먹고, 갖가지 음식의 재료로 사용하기도 함.
              고상 가옥: 마룻바닥을 지면에서 떨어지게 짓는 집
              -고상 가옥은 뱀이나 해충의 침입을 줄일 수 있음
















              

2016년 3월 23일 수요일

2단원 3. 거주 공간의 변화



                          3. 거주 공간의 변화


              인간 거주에 불리해진 지역


            기후 변화는 인간 거주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

            기후 변화는 인간 거주 공간 변화에 커다란 영향을 끼침
            -갑자기 추워지거나 건조해진 기후가 흉작, 전쟁, 질병 등으로 이어져
             문명 파괴 가능
            지구는 인간 활동에 의한 기후 변화로 위협 받고 있음
            -화석 연료의 과다사용
            -삼림 파괴
             ㄴ대기 중에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짐.
             ㄴ지구의 기온이 지속적으로 상승
            -몰디브, 투발루 등과 같이 해발 고도가 낮은 섬나라들은 해수면 상승으로
             국토가 사라질 위기
              
             
            
            +사하라 사막은 푸른 초원이었다
            -기원전 6000년 전까지 사하라 사막은 비가 많이 내림
            -기온도 높음
             ㄴ각종 동식물이 번성
            -그러나 이후 기후가 변화하기 시작
            -오늘날에는 극도로 메마른 땅으로 변함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음






            숲과 초지가 사라진 지역에서는 어떠한 일이 일어났을까

            -인간은 농경을 시작한 이래 농작물을 재배, 가축을 사육
            -위해 초지를 꾸준히 농경지로 바꿈
             ㄴ그러나 숲과 초지의 지나친 감소는 기후, 토양 등을 변화시킴
            -적은 양의 비에도 토양이 쉽게 쓸려나감
             ㄴ농경에 적합했던 지역이 척박한 환경으로 변화
             ㄴ1950년대 이후 인도, 네팔 등 히말라야 산지에서 일어난 삼림 파괴로
                산사태가 일어남
            -1800년대 후반 미국 대평원에 백인이 거주하기 시작하면서 초지를 농경지로
             바꿈->밀 재배
             ㄴ1930년대 가뭄으로 인해 풀이 사라진 곳에 강풍이붐
             ㄴ거대한 흙모래 폭풍 발생(주변 지역에 큰 피해)
            -이와 비슷한 현상이 중앙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등 세계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음
               


네팔의 산사태




토양 침식에 의한 피해
















                인간 거주에 유리해진 지역

              인간은 어떻게 거주 공간을 확장해 왔을까

              인간은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 거주에 불리했던 지역을 유리한 곳으로 변화
              하굿둑: 하천과 바다가 만나는 하구에 건설한 둑이다
              염해: 소금기가 많은 물이 농경지에 일으키는 피해이다
              과거
              -큰 하천 바로 옆에 사는 것을 피함(홍수의 위험)
              -대부분 전통 촌락이 산지와 평지가 만나는 지점에 있음(홍수를 피하기 위함)
              오늘날
              -하천 주변의 습지에 배수 시설을 설치
              -인공 제방 건설
                ㄴ거주 지역과 농경지로 이용 가능
              -해안 지역, 하천의 하구에서는 방조제나 하굿둑을 건설하여 용수확보
               ㄴ염해로부터 벗어날 수 있음
영산강 하굿둑


하천 주변의 농경지와 거주지













              

              

              열악한 자연환경을 극복한 사례로는 무엇이 있을까

              간척 사업: 육지에 가까운 얕은 바다, 호수에 둑을 쌓고 그 안의 물을 빼내어
                            육지로 만드는 것.
              국토 대부분이 해수면보다 낮은 네덜란드는 부족한 거주 공간을 간척 사업
              으로 해결
              -네덜란드는 국토의 절반 정도가 간척지로 이루어짐
              -간척 사업으르 할 때 환경 파괴를 최소화하여 세계적인 모범 사례가 됨
              -네덜란드의 간척지에서는 낙농업원예 농업이 활발함
              -미국은 콜로라도 강에 후버 댐을 건설
               ㄴ사막 한가운데에 라스베이거스라는 화려한 도시를 건설
              -중국의 투루판 분지에서는 톈산 산맥의 눈 녹은 물을 끌음
               ㄴ당도 높은 포도를 생산
              -스위스는 알프스 산지의 눈 녹은 물을 수력발전에 이용
               ㄴ전체 전력의 절반 이상을 얻음
네덜란드의 원예 농업 단지
라스베이거스 야경









투루판 분지의 포도 재배
사진출처
영산강 하굿둑: http://blog.daum.net/ysriver21/6044245
하천 주변: http://blog.daum.net/love3535sinlove/23874
네덜란드 원예 농업단지: http://www.lafent.com/inews/news_view.html?news_id=109330
라스베이거스 야경: http://hearttravel.co.kr/%EB%9D%BC%EC%8A%A4%EB%B2%A0%EA%B0%80%EC%8A%A4-%EC%95%BC%EA%B2%BD-%ED%97%AC%EB%A6%AC%EC%BD%A5%ED%84%B0-%ED%88%AC%EC%96%B4/
투루판 분지의 포도 재배: http://younghwan12.tistory.com/2472

























2016년 3월 17일 목요일

2단원 2. 인구가 밀집한 동남아시아와 서부 유럽



              2. 인구가 밀집한 동남아이아와 서부 유럽 


                     

              계절풍과 함께 사는 동남아시아

              

           동남아시에에서는 언제 비가 많이 내릴까

           태평양과 인도양 사이에 위치한 동남아시아는 인도차이나 반도와 주변의
           여러 섬들로 구성
 
동남아시아: 대부분의 지역이 적도 주변에 위치하여 열대기후가 나타남
         

           계절풍: 계절에 따라 바람의 방향이 바뀌는 바람 (주로 동남아시아, 인도차이나에
                     서붐)
                     -여름에는 바다로부터 불어오는 습윤하나 바람의 영향으로 많은 비가 내려
                      벼농사 유리.




사진출처








            동남아시아에서 벼농사가 활발한 지역은 어디일까

            충적 평야: 하천에 의해 운반된 물질이 퇴적되어 형성된 평야.
            메콩 강, 짜오프리야 강, 이라와디 강 주변의 충적평야
            -비옥한 토양
            -잘 정비된 관개 시설
            -세계적인 벼농사 지역
            산지가 많아 농경지가 부족한 지역
            -계단식 논을 조성하여 벼농사를 지음
            동남아시아는 연중 기온이 높음 
            -관개 시설이 잘 갖추어진곳: 연중 2~3 차례 벼 수확 가능
            타이, 베트남, 캄보디아
            -쌀을 자급자족하고도 남음: 세계적인 쌀 수출국이 됨



필리핀의 계단식 논


베트남의 벼농사














                편서풍과 함께 사는 서부 유럽


             서부 유럽의 겨울이 온화한 이유는 무엇일까

서부 유럽의 지형
             서안 해양성 기후: 겨울 기온이 온              화하고 연중 강수량이 고른 기후
             편서풍: 내륙 깊숙한 곳까지 바다                로부터 불어오는 습윤한 바람
             북대서양 해류: 멕시코 만 쪽에서                북상하는 난류
             서부 유럽은 알프스 산맥, 피레네                산맥 북쪽에 위치
             서부 유럽은 유럽 대평원 일대에                해당하는 지역
             -대채적으로 해발 고도가 낮고 평               탄함
             서부 유럽의 기후
             -서안 해양성 기후가 나타남
             -편서풍이 붐
             -북대서양 해류의 영향을 받아 겨               울철 기온이 온화함

사진출처
서부 유럽의 지형: http://proi.edupia.com/contents/proicontents/proi/proi/middle/SchoolBook/seb/jd_seb1_content.asp?nTerm=2&nYear=7&nConID=995&nCatID=453&nDaeNumber=2






            서부 유럽 사람들은 어떻게 살까

            서부 유럽
혼합 농업
            1-여름이 서늘하고 겨울이 온화
            2-흐린 날이 많음: 곡물 농사가                  잘 되지 않음
            3-서늘한 기후에서도 잘 자라는                  밀과 보리 등의 식량 작물을 재                배
            4-목초지를 따로조성하여 소나                  돼지 등 가축을 함께 기름
            혼합 농업(3-, 4-)이 발달
            이 지역 사람들이 식사할 때 포               크, 나이프를 사용하는것은 혼합             농업 으로부터
            비롯된 육식 문화와 관계가 깊음
            오늘날 서부 유럽
            -대도시 근처, 교통이 편리한 지                역을 중심으로 낙농업, 원예 농업 이 활발하게 이
             루어짐
            낙농업: 가축에서 젖을 얻거나 그 젖으로 버터, 치즈 등의 유제품을 만드는 산업
라인 강
            원예 농업: 꽃, 채소, 과일 등을 재배하는 농업(주                            로 판매를 목적)
            -농업 기술 수준이 높고 소비시장이 넓음
              ㄴ상업적 농업 발달에 유리한 조건을 갖춤
            -겨울에도 하천이 잘 얼지 않음
            -연중 하천 수위가 고르게 나타남
             ㄴ내륙 수운 발달에 유리
            내륙 수운: 강, 호수, 운하 등을 이용해 사람과 물                            자를 운반하는 것


사진 출처
혼합 농업: http://m.blog.daum.net/umyoumi/5945461
라인 강: http://egloos.zum.com/masksj/v/2697780













































2016년 3월 16일 수요일

2단원 1. 거주 공간으로서의 지구



                              1. 거주 공간으로서의 지구  

               

                ①. 인간 거주와 자연환경           

              인간은 어디에 거주할까

              자연환경: 인간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의 모든 요소
              인간은 적도-극지방까지 다양한 지역에서 거주.
              그러나 특정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
              인간은 옛날부터 물이 풍부하고, 농경과 목축을 통해 지속적으로 식량을
              생산할 수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모임
              이렇듯 인간은 거주하기 유리한 자연환경이 나타나는 지역을 중심으로 모임
                    
                     
                    

              인간 거주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환경은 무엇일까

              기후: 한 장소에서 여러 해동안 되풀이하여 나타나는 종합적이고 평균적인 대기                      상태
              기후는 열대 기후, 건조 기후, 온대 기후, 냉대 기후, 한대 기후 등으로 구분된다
              기후에 따라 다양한 농업 경관이 펼처침
              기후에 따라 의복, 음식, 가옥 등 주민 생활 모습이 달라짐

              열대 기후: 일 년 내 내 기온이 높은 지역으로, 연중 비가 오는 곳은 숲이 우거져                             있다
              건조 기후: 강수량이 부족하고 증발량이 많아 사막이나 초원이 나타난다
              온대 기후: 인간의 생활에 적합한 기후가 나타나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다
              냉대 기후: 겨울이 춥고 길지만, 여름이 따뜻하여 일부 지역에서는 밭농사가 행                               해진다
              한대 기후: 두세 달의 여름철을 제외하면 월 평균 기온이 영하로 나타난다.
              고산 기후: 적도 부근의 해발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일 년 내내 봄과 같은 날씨
                            가나타난다





사진출처: http://cafe.naver.com/kidjob/35911 



              ②. 인간 거주에 유리한 자연환경

              인간 거주에 유리한 기후는 무엇이며, 어디에 분포할까

              사람은 인간의 활동에 비해 유리한 기후가 나타나는 중위도 냉, 온대 기후에
              많이 살고 있다.             
              온대 기후: 사계절의 변화가 뚜렷하고 비교적 강수량이 풍부하여 많은 사람들이
                            모여산다
              냉대 기후: 온대 기후 지역에 비해 여름이 짧고 겨울이 춥고 길게 나타난다.
                            남부는 비교적 기온이 높아 사람들이 많이 거주함
                            북부 지역은 기온이 낮아 사람이 적고 침엽수림이 울창한 타이가
                            지대가 넓개 펼쳐져 있다
              고산 기후: 해발 고도가 높은 산지 지역에 나타난다. 적도 부근의 고산 지역에
                            서는 일년 내내 봄과 같은 온화한 날씨 나타남                              



사진출처 온대기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44117&cid=47334&categoryId=47334
            고산기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44117&cid=47334&categoryId=47334
            냉대기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44117&cid=47334&categoryId=47334





     

               인간 거주에 유리한 지형은 무엇이며, 어디에 분포할까

              인간은 산지 지역보다 평야 지역에 많이 거주
              평야: 땅이 넓게 펼쳐져 있음. 농경과 목축에 유리. 교통도 편리.
                     (미국은 높은 산지가 많은 서부보다 평야와 낮은 산지가 분포하는 동부에
                      많은 사람들 거주.)
              인간은 하천 주변에 많이 거주.
              하천: 교통로로 이용, 각종 용수 공급, 범람에 의해 형성된 비옥한 토양.
                     인간은 내륙보다 해안 지역에 많이 거주.
              해안: 해안은 바다와 육지가 많은 공간. 오늘날 전 세계의 절반 이상이
                     바다로부터 100km 이내 지역에 거주. 해안은 어업등 바다를 이용하여
                     경제 활동을 하기 쉽고 교통이 편리. (무역과 공업의 발달에 유리)


미국의 인구 분포


사진출처: http://www.ois.go.kr/portal/page?_pageid=93,721498&_dad=portal&_schema=PORTAL&p_deps1=info&p_deps2=&oid=1120531115346746294
































2016년 3월 13일 일요일

1단원 3. 다양한 지리 정보 기술의 활용


                   3. 다양한 지리 정보 기술의 활용



                    ①. 일상생활 속의 지리 정보

                          

             지리 정보는 무엇인가

              지리 정보: 다양한 지리 현상을 확인하고 분석, 그 특성을 파악하는 데
                                필요한 자료를 의미.
               -공간 정보, 속성 정보, 관계 정보로 구성
               공간 정보: '어디에 있는가?' 에 관함
               속성 정보: '어떤 특성을 지니는가?' 에 관함
               관계 정보: '다른 지리 정보와는 어떤 관계인가?'에 관함
                    
                                                                           
                   

                    ②. 다양한 지리 정보 기술

              

               지리 정보 체계란 무엇인가

                지리 정보 체계: 다양한 지리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로 바꾸어 컴퓨터에 입력,
                                     관리 분석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결과물을 생산하는 현대적
                                     인 지리 정보 기술을 의미.
                지리 정보 체계를 이용시 나타나는 특징
                -특정 지역의 인구, 도로, 지형, 기후, 상하수도, 가스관등의 자료를
                 컴퓨터에 저장,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필요한 지리 정보만을
                 중첩하여 적절하게 활용 가능.




               디지털 기기를 어떻게 활용할까

                지도, 책, 신문 을 통해서만 알수있던 위치, 날씨, 길 찾기, 맛집 정보, 지하
               철 시각표, 시차, 인구, 소요시간 교통비 등을 스마트폰 하나로 쉽게
               확인 가능.
                위치 확인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자신의 이동경로 파
               악, 인터넷 지도를 통해 지역검색 가능.                     

















2016년 3월 8일 화요일

1단원 2. 경위도에 따른 인간 생활의 차이

 

                     2. 경위도에 따른 인간 생활의 차이


             ①. 위도에 따른 인간 생활의 차이

              위도에 따라 기후가 다른 이유

              -태양이 비추는 각도에 따라
              -적도 부근은 태양이 수직에 가깝게 비추기 때문에
                일사량이 많아 일 년 내내 덥다.
              -극지방에서는 태양 빛을 적게 받아 일 년 내내 춥다.
         
              적도에서 극지방으로 갈수록 기온이 낮아지며, 북반구에서는 북쪽으로 갈수록,
            남반구에서는 남쪽으로 갈수록 추워진다.
            (저위도와 고위도 사이의 중위도 지방에서는 비교적 온화한 기후가 나타난다.

        
   

           위도가 인간 생활에 미치는 영향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위도에 따라 기후가 달라지므로, 그에 따라 사람들의 생활 모습도 달라진                       다.            
             더운지방: 얇고 간단한 옷
             추운지방: 두꺼운 옷
             더운지방의 집: 개방적이고 통풍에 유리
             추운지방의 집: 폐쇄적이고 보온에 유리, 난방시설이 갖추어짐

           -위도에 따른 기후 차이는 식생과 토양, 농업 활동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추운 극지방: 농업활동 불리
             중위도 지방: 다양한 종류의 농작물 생산 = 많은 사람들이 살아가기 유리  
      
            농작물의 전파와 사람들의 이주 경로를 살펴보면 주로 동서 방향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농작물은 원산지와 기후가 달라지면 재배가 어려워
           지므로 동서 방향으로 전파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사람들의 이주도
           동서 방향으로 전파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사람들의 이주도 동서 방향
           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라시아 대륙은 다른 대륙과 달리 동서 방향으로 길어 문명
           전파가 더욱 쉬웠을 것이라 여겨진다.
                                          

           와인 벨트와 커피 벨트

           와인벨트
           포도는 북위 25~50도 , 남위 25~40도 사이에서 주로 재배됨.
           중위도 지방은 포도가 자라는데 알맞은 기후 = 와인만들기 유리
           (열대지방도 포도 재배가 가능하지만 이 지역의 포도는 와인을 만들기에는
            너무달다)
           북반구와 남반구의 주요 포도 생산지를 연결한 두개의 띠가 와인 벨트

           커피 벨트
           커피는 월평균 기온이 20도C이고 연교차가 크지 않은 기후에서 잘자람
           (적도중심)
           커피의 주요 생산지: 브라질, 콜롬비아, 베트남, 에티오피아 등
           이들을 모두 '커피 벨트' 라고 불리는 북회귀선과 남 회귀선 안쪽에 걸쳐 있음.







           위치에 따라 계절은 어떻게 달라질까
          
지구는 기울어진 상태로 공전
           ㄴ북반구와 남반구는 일사량이 서로 달라 계절이 반대
           북반구와 남반구의 계절의 차이로 인해  분반구와 남반구 간에는 농산물의
           국제 교역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 경도에 따른 인간 생활의 차이

              지역마다 왜 시간이 다를까

              자전: 지구가 하루에 한 번 양극을 축으로 하여 서쪽에서 동쪽으로 회전하는것.
                      
                        지구는 하루 24시간 동안 360도 를 회전하기 때문에 경도 15도 마다
                        1시간씩 차이가 난다.
              
                시간을 정하는 기준이 국가나 지역마다 다르다면 혼란이 생길 수 있다
              그러므로 세계 여러 국가나 지역에서는 본초 자오선을 기준으로 경도 15도 마다
              1시간씩 시차가 나는 시간대를 세계 공통으로 정하고, 표준 경선에 따라 표준시               를 정하여 사용하게 되었다.

                지구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자전하기 때문에 표준시는 본초 자오선을 기준으로               동쪽으로 갈수록 빨라지고, 서쪽으로 갈수록 늦어진다. 본초 자오선의 시간보다               12시 빠른 동경 180도 선과 12시간 늦은 서경 180도 선이 본초 자오선 반대편에               서 만나는데, 이를 날짜 변경선이라고 한다.


              시간 차이는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

                우리나라의 표준 경선은 동경 135도 이다. 본초 자오선이 지나는 영국의 동쪽                 에 위치하므로 표준시는 영국보다 9시간 빠르다. 우리나라는 하나의 표준시를                 사용하지만, 동서로 넓은 러시아나 미국 등은 여러 개의 표준시를 사용한다.
                영국 프리미어 리그의 축구 경기가 열릴 때나 유럽에서 올림픽 대회가 열릴 때               는 밤을 새워 응원을 하기도 한다. 또한, 유럽이나 미국으로 여행을 갈 때는 시차               에 적응 하지 못해 여행 내내 피곤한 경우도 있다.
             











출처: 위도대별 일사량의 차이: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44110&cid=47334&categoryId=47334

































    















1단원 1. 위치를 표현하는 다양한 방법

 

                  1. 위치를 표현하는 다양한 방법


①. 랜드마크와 경위도를 이용한 위치 표현
내가 있는 곳의 위치 표현
1. 주소로 표현
2. 서로가 잘 알고 있는 주변 건물을 이용한 표현
3. 좀 더 넓은 공간 범위에서 위치표현
예: "원주는 강원도 남서부에 있어." 등

+도로명 주소 체계
1-도로에 폭에 따라 '대로, 로 ,길' 로 구분
2-도로의 좌우 건물에 번호를 붙임
장점
-길 이름만 알면 어느 곳에서도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랜드마크를 이용하여 위치를 표현
ㄴ내가 시내 어느 곳에 있다고 할 때, 눈에 띄는 주변 경관을 이요하여 위치를
표현하는것이 효과적.
랜드마크: 여러 경관 중, 두드러지게 눈에 띄기 쉬운 특이성이 있는 건물.
ㄴ세계 각 도시를 대표하는 건축물뿐만 아니라 학교, 백화점, 극장 등 사람들이 많이 아
는 곳은 모두 랜드마크가 될 수 있다.
ㄴ랜드마크는 도시 내에서 위치를 알려 주는 기능을 넘어서 그 도시의 상징이 되기도 함
예:파리의 에펠 탑, 뉴욕의 자유의 여신상, 시드니의 오페라 하우스 등.





약도
-약도는 간단히 줄여 중요한 부분만 대략적으로 그린 지도.
-도로망과 랜드마크를 중심으로 위치 표현
-실제 지도와는 조금 다르게 표현되지만 주요 지점의 위치가 강조되어 원하는 곳을
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해 준다.




지구 상에 위치 표현
위선: 적도와 평행하게 지구 둘레를 따라 그은 가상의 가로선. (적도가 0도), (북극은 북위
90도, 남극은 남위 90도가 됨)
경선: 지구의 북극과 남극을 연결산 가상의 세로선.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와 양극을 잇는
본초 자오선*을 기준으로함.), (본초 자오선을 기준으로 동쪽으로는 동경 0~180도
, 서쪽으로는 서경 0~180도 로 구분하여 나타냄)
동경과 서경은 E와 W로, 북위와 남위는 N과 S로 각각 표현된다.

지구 상의 어떤 지점도 경위도 값만 알면 정확히 찾아갈 수 있다.

*: 경도 0도가 지나는 경선으로 세계시간의 기준이 된다.




②. 공간 범위에 따른 위치 표현
같은 지역을 표현한 지도는 모두 같은 정보를 담고 있을까?
지도: 지표면의 여러 현상을 축척, 방위, 기호 등을 사용하여 나타낸 것.
-넓은 지표 공간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실제
공간을 줄여서 표현 해야함
-큰 종이에 그린 지도는 많은 정보
-작은 종이에 그린 지도는 큰 지도에 비해 몇가지 정보를 생략
ㄴ같은 내용일 지라도 큰 종이에 그린 내용들이 더 구체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같은 지역을 나타낸 지도라 하더라도 줄인 비율에 따라 담고 있는
정보의 양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공간 범위에 따라 어떤 지도를 활용하는 게 유용할까?

-축척: 실제 땅 위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지리적 현상들을 지도 상에
나타내기 위해 실제 거리를 일정한 비율로 줄인것
(1:50,000인 지도는 실제 거리 50,000cm을 지도 상에서 1cm로 줄여 표현
한 것을 의미.)
ㄴ넓은 공간 범위에서 국가나 도시의 위치를 파악할 때는 소축척 지도가 유리.
-세계 전도, 우리나라 전도 등이 포함
ㄴ 비교적 좁은 지역을 보려면 대축척지도를 이용.
-건물의 위치, 토지 이용, 도로망 등이 잘 나타나 있음.
-쇼핑센터 안내도가 대표적.


사진출처
에펠탑: http://cafe.naver.com/ki22/4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