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3월 23일 수요일

2단원 3. 거주 공간의 변화



                          3. 거주 공간의 변화


              인간 거주에 불리해진 지역


            기후 변화는 인간 거주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

            기후 변화는 인간 거주 공간 변화에 커다란 영향을 끼침
            -갑자기 추워지거나 건조해진 기후가 흉작, 전쟁, 질병 등으로 이어져
             문명 파괴 가능
            지구는 인간 활동에 의한 기후 변화로 위협 받고 있음
            -화석 연료의 과다사용
            -삼림 파괴
             ㄴ대기 중에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짐.
             ㄴ지구의 기온이 지속적으로 상승
            -몰디브, 투발루 등과 같이 해발 고도가 낮은 섬나라들은 해수면 상승으로
             국토가 사라질 위기
              
             
            
            +사하라 사막은 푸른 초원이었다
            -기원전 6000년 전까지 사하라 사막은 비가 많이 내림
            -기온도 높음
             ㄴ각종 동식물이 번성
            -그러나 이후 기후가 변화하기 시작
            -오늘날에는 극도로 메마른 땅으로 변함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음






            숲과 초지가 사라진 지역에서는 어떠한 일이 일어났을까

            -인간은 농경을 시작한 이래 농작물을 재배, 가축을 사육
            -위해 초지를 꾸준히 농경지로 바꿈
             ㄴ그러나 숲과 초지의 지나친 감소는 기후, 토양 등을 변화시킴
            -적은 양의 비에도 토양이 쉽게 쓸려나감
             ㄴ농경에 적합했던 지역이 척박한 환경으로 변화
             ㄴ1950년대 이후 인도, 네팔 등 히말라야 산지에서 일어난 삼림 파괴로
                산사태가 일어남
            -1800년대 후반 미국 대평원에 백인이 거주하기 시작하면서 초지를 농경지로
             바꿈->밀 재배
             ㄴ1930년대 가뭄으로 인해 풀이 사라진 곳에 강풍이붐
             ㄴ거대한 흙모래 폭풍 발생(주변 지역에 큰 피해)
            -이와 비슷한 현상이 중앙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등 세계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음
               


네팔의 산사태




토양 침식에 의한 피해
















                인간 거주에 유리해진 지역

              인간은 어떻게 거주 공간을 확장해 왔을까

              인간은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 거주에 불리했던 지역을 유리한 곳으로 변화
              하굿둑: 하천과 바다가 만나는 하구에 건설한 둑이다
              염해: 소금기가 많은 물이 농경지에 일으키는 피해이다
              과거
              -큰 하천 바로 옆에 사는 것을 피함(홍수의 위험)
              -대부분 전통 촌락이 산지와 평지가 만나는 지점에 있음(홍수를 피하기 위함)
              오늘날
              -하천 주변의 습지에 배수 시설을 설치
              -인공 제방 건설
                ㄴ거주 지역과 농경지로 이용 가능
              -해안 지역, 하천의 하구에서는 방조제나 하굿둑을 건설하여 용수확보
               ㄴ염해로부터 벗어날 수 있음
영산강 하굿둑


하천 주변의 농경지와 거주지













              

              

              열악한 자연환경을 극복한 사례로는 무엇이 있을까

              간척 사업: 육지에 가까운 얕은 바다, 호수에 둑을 쌓고 그 안의 물을 빼내어
                            육지로 만드는 것.
              국토 대부분이 해수면보다 낮은 네덜란드는 부족한 거주 공간을 간척 사업
              으로 해결
              -네덜란드는 국토의 절반 정도가 간척지로 이루어짐
              -간척 사업으르 할 때 환경 파괴를 최소화하여 세계적인 모범 사례가 됨
              -네덜란드의 간척지에서는 낙농업원예 농업이 활발함
              -미국은 콜로라도 강에 후버 댐을 건설
               ㄴ사막 한가운데에 라스베이거스라는 화려한 도시를 건설
              -중국의 투루판 분지에서는 톈산 산맥의 눈 녹은 물을 끌음
               ㄴ당도 높은 포도를 생산
              -스위스는 알프스 산지의 눈 녹은 물을 수력발전에 이용
               ㄴ전체 전력의 절반 이상을 얻음
네덜란드의 원예 농업 단지
라스베이거스 야경









투루판 분지의 포도 재배
사진출처
영산강 하굿둑: http://blog.daum.net/ysriver21/6044245
하천 주변: http://blog.daum.net/love3535sinlove/23874
네덜란드 원예 농업단지: http://www.lafent.com/inews/news_view.html?news_id=109330
라스베이거스 야경: http://hearttravel.co.kr/%EB%9D%BC%EC%8A%A4%EB%B2%A0%EA%B0%80%EC%8A%A4-%EC%95%BC%EA%B2%BD-%ED%97%AC%EB%A6%AC%EC%BD%A5%ED%84%B0-%ED%88%AC%EC%96%B4/
투루판 분지의 포도 재배: http://younghwan12.tistory.com/2472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