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4월 18일 월요일
2016년 4월 17일 일요일
4단원 1. 기후로 떠나는 여행
1. 기후로 떠나는 여행
① 세계의 기후 관광지
매력적인 기후 관광지는 어디일까
관광: 살고 있는 곳에서 벗어나 다른 장소를 방문, 자연환경과 풍습을 경험하여 즐
김
유명 관광지 중 기후 환경과 관련된 곳
-열대 기후의 남태평양 섬
-사파리 관광으로 유명한 열대 초원
-지중해성 기후 지역 휴양지
-겨울 스포츠가 발달한 냉대 기후 지역
② 관광지의 기후 특성
열대 사바나 기후 지역으로 사파리를 떠나 볼까
열대 사바나 기후: 우기와 건기가 뚜렷하게 나타남
ㄴ우기: 푸른 풀로 뒤덮임
ㄴ건기: 풀이 말라 누런 빛으로 변함
-동물들이 살기 좋은 환경
동부 아프리카(케냐, 탄자니아 등) 는 이러한 지역을 국립 공원으로 지정.
-야생 동물과 독특한 생태계를 활용
-관광 산업을 발달
-'동물의 왕국' 촬영지
지중해성 기후 지역으로 여행을 떠나 볼까
지중해성 기후: 풍경이 아름다워 세계적인 휴양지로 각광받음
-그리스의 산토리니 섬
-바다색 지붕과 하얀색 벽의 집들
지중해성 기후: 지중해 주변에 나타남
-남부 유럽
-북부 아프리카
-여름에는 덥고 건조함
-겨울에는 온화하고 습윤함
-쾌적한 환경 덕에 많은 사람들이 지중해성 기후 지역으로 떠남
-에스파냐
-이탈리아
-프랑스 등
-고대 로마의 문명 유산이 있어 관광 산업 발전에 유리
-덥고 건조한 여름철
1-포도 2-오렌지 3-올리브 등을 재배하는
수목 농업이 발달
-피자, 파스타 등의 음식이 다양하게 발달
냉 . 온대 기후 지역에서 단풍과 스키를 즐기다
우리나라에서 단풍 구경 가능 (사계잘이 뚜렷함)
세계적으로 단풍을 볼 수 있는 곳
-낙엽수림 자라는 캐나다
-미국 동부
-우리나라와 일본
-북서부 유럽
ㄴ냉 . 온대 기후가 분포 하는 곳
냉 . 온대 기후 지역은 겨울에 기온이 낮고 눈이 많이 내림
-겨울 스포츠 발달
-역대 동계 올림핃은 추운 겨울이 나타나는 냉 . 온대 기후 지역에서 개최
스키, 스노보드- 유럽: 알프스 산지
북아메리카: 로키 산지
2016년 4월 13일 수요일
3단원 단원 마무리 -활동하기-
㉮: 열대우림지역, 열대우림지역인대 고기를 먹고 있다
열대우림지역인대 생선을 먹고 있다
㉯: 툰드라지역, 툰드라지역인대 열대과일을 먹고 있다
뒤에 있는 집이 고상 가옥이 아니다
다음 상황에서 사막을 탈출하는 데 필요한 물건 다섯가지를 중요하나 순서대로 선택하고, 그 이유를 설명해 보자
물건명
|
선택 순서
|
선택 이유
|
손거울
|
5
|
열을 모으고 빛을 반사해 자기 위치를 표현한다
|
나침반
|
||
선글라스
|
||
자외선 차단제
|
||
담요
|
3
|
임시 거처와 따뜻한 이불이 될 수 있다
|
망원경
|
4
|
망원경으로 멀리 봐야 탈출 가능하다
|
지도
|
||
휴대용 칼
|
1
|
일단 칼이 있어야지 무엇이든 가능하다
|
손전등
|
||
바람막이 점퍼
|
2
|
사막의 뜨거운 햇살과 추운 밤을 버틸 수 있다
|
2016년 4월 10일 일요일
3단원 3. 툰드라 지역에서의 생활
3. 툰드라 지역에서의 생활
① 툰드라 지역의 자연환경
툰드라 기후의 특색은 어떠할까
툰드라: '나무가 없는 땅' 이라는 뜻한대 기후: 가장 높은 평균 기온이 10도C 이하로, 일년 내내 추운 기후
-툰드라는 본래 고위도나해발 고도가 높은 지역의 식생을 의미
-지금은 한대 기후의 한 종류로 사용중
주로 북극해를 중심으로 한 북반구의 고위도 지역에 분포
툰드라는 어떤 모습일까
영구 동토층: 일년 내내 언 상태로 있는 토양층(항상 영하)백야: 밤이 되어도 어두워지지 않는 현상(고위도 지역 여름철)
-툰드라는 일 년 내내 얼어붙어 있는 영구 동토층으로 이루어짐
-짧은 여름동안, 눈과 얼음이 녹으면서 이끼류주로 자람(기온이 영상으로 오름)
-여름은 짧지만 백야 현상덕분에 식물이 자라는 데 유리함
여름에 이끼가 풍성해지면 순록의 무리가 남에서 북으로 이동하기 시작함
-순록을 유목하는 사람들도 남에서 북으로 거주지를 옮김
② 툰드라 지역의 생활 양식
얼어붙은 극한의 땅에서 어떻게 의식주를 해결할까
-툰드라 지역에서는 동물의 털과 가죽을 활용하여 옷을 지음-툰드라 지역 주민들은 육류 위주의 식생활(채소, 과일을 구하기 힘듬)
ㄴ고기를 날것으로 먹음
-열량이 높은 지방질 섭취
-부족한 비타민 섭취
고상 가옥을 짓는 이유
-여름철에 언 땅이 녹으면 지표면이 질척거리는 상태가 됨(건물 불안정)
ㄴ바닥에 자갈을 깔아도 열 차단 가능
이글루는 먼 지역으로 사냥 갔을 때 짓는 임시 가옥
툰드라에서는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을까
툰드라에는 지하자원이 대량으로 매장되있음-시베리아와 알래스카 곳곳에 도시 형성
-인류의 자원 문제 해결을 위한 미래의 땅이라 여김
자원 개발로 원주민의 삶은 심각한 위험을 받고 있음
-석유 개발중 흘러나오는 기름으로 생태계의 근원인 이끼 훼손
-강물 오염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땅이 녹아 유목민이 이동하기에 어려움
젊은 이누이트들은 전통적인 가치관과 현대적인 가치관 사이에서 방황
-현대화된 주택 거주
-생고기보다 가공 식품
-바다표범의 가죽을 씌운 카약 대신 발동선을 이용
-개썰매는 스노모빌로 대체
이 때문에 원주민 고유의 삶이 급격히 변화
읽을 거리
(함영민의 하늘이야기-네이버-월간아웃도어: http://navercast.naver.com/magazine_contents.nhn?rid=1105&contents_id=42096)
2016년 4월 5일 화요일
3단원 2. 건조 지역에서의 생활
2. 건조 지역에서의 생활
① 건조 지역의 자연환경
건조 기후의 특색은 어떠할까
건조 기후: 연 강수량이 500mm 미만으로 비가 매우 적게 내리는 기후-사막 기후와 스텝 기후로 구분
사막 기후
-사막은 나무와 풀이 적고 습도가 낮음
ㄴ낮과 밤의 일교차가 심함
ㄴ사하라 사막에서는 새벽에 얼음이 얼기도 함
-사막은 비가 잘 내리지 않는 지역에 발달
ㄴ연중 고기압대의 영향을 받는 남, 북회귀선 부근
ㄴ바다에서 멀리 떨어져 수분 공급이 적은 유라시아 대륙
ㄴ연안에 한류가 흘러 대기가 안정적인 해안, 높은 산맥의 비그늘 지역에는
세계적으로 사막이 발달
스텝 기후
-스텝은 사막 주변에 나타남
ㄴ중앙아시아 지역에 넓게 분포
ㄴ사하라 사막 주변에도 좁고 긴 띠 모양으로 나타남
건조 지역은 어떤 모습일까
-모든 사막이 모래로 덮여 있는 것은 아님ㄴ세계에는 모래사막보다 바위나 자갈 등으로 덮인 사막이 더 많음
-사막은 강수량이 부족 = 식물이 자라기 어려움(주로 선인장과 가시덤불
등이 자람)
-스텝은 짧은 우기에 키가 작은 풀들이 자라 초원을 이룸
-건기가 되면 풀이 말라버려 사막처럼 황량해짐
ㄴ들불이 일어나 풀이 타 버리기도 함
②. 건조 지역의 생활 양식
사막의 주민들은 어떻게 살아갈까
-사막에 사람들은 겹겹의 천으로 온몸을 감싸는 옷을 입음ㄴ강한 햇빛과 모래바람으로부터 피부를 보호, 몸을 식히는 효과가 있음
또한 밤에 체온이 떨어지는 것을 막음
-사막은 나무를 구하기 힘들어, 주로 흙으로 집을 지음
ㄴ벽을 두껍게 만들고 창문을 작게 만들면 더운기운이 집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는대 효과적
ㄴ강수량이 적어 지붕을 넓고 평평하게 만듬
-사막을 이동할 때는 전통적으로 낙타 이용
ㄴ낙타는 고기와 젖을 제공
-사막은 강수량이 적어 농사짓기에 불리함
-주민들은 오아시스 주변에 마을을 이룸
-대추야자, 밀, 보리 등을 재배
ㄴ대추야자는 사막에서 생산되는 가장 유용한 작물
-오아시스 주변에 자리한 마을중 대상 무역의 거점으로 성장하여 도시로 발달한
경우도 있음
-일부 사막에서는 지하 관개 수로를 이용한 관개 농업이 이루어짐
-지하 수로는 강렬한 햇빛에 의해 물이 증발되는 것을 막아줌
-지하 관개 수로 도착지점에는 정착촌이 형성됨.
(관개 농업 설명-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01262&cid=50305&categoryId=50305)
스텝의 주민들은 어떻게 살아갈까?
유목: 말, 염소, 양 등 가축을 기르고 풀을 찾아서 이동하는것-유라시아 대륙의 스텝 지역에서는 대부분 유목이 이루어지고 있음
-대부분의 식량을 가축에게서 얻음
ㄴ양고기와 염소고기 위주
ㄴ가축의 젖을 이용하여 유제품 섭취
-천막과 옷을 가축의 털과 가죽으로 만들기도 함
-일부 스텝 지역은 물이 안정적으로 공급, 세계적인 곡창지대가 됨
ㄴ우크라이나 스텝 지역 -> 유럽의 빵 공장이라 불림 (밀 생산량 많음)
-팜파스(아르헨티나) 프레리(미국) 등에서도 기업적인 밀농사가 이루어짐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등은 관개에 의한 목화 재배가 활발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