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4월 10일 일요일

3단원 3. 툰드라 지역에서의 생활




                   3. 툰드라 지역에서의 생활


                툰드라 지역의 자연환경

              툰드라 기후의 특색은 어떠할까

              툰드라: '나무가 없는 땅' 이라는 뜻
              한대 기후: 가장 높은 평균 기온이 10도C 이하로, 일년 내내 추운 기후
              -툰드라는 본래 고위도나해발 고도가 높은 지역의 식생을 의미
              -지금은 한대 기후의 한 종류로 사용중
              주로 북극해를 중심으로 한 북반구의 고위도 지역에 분포

              툰드라는 어떤 모습일까

              영구 동토층: 일년 내내 언 상태로 있는 토양층(항상 영하)
              백야: 밤이 되어도 어두워지지 않는 현상(고위도 지역 여름철)
              -툰드라는 일 년 내내 얼어붙어 있는 영구 동토층으로 이루어짐
              -짧은 여름동안, 눈과 얼음이 녹으면서 이끼류주로 자람(기온이 영상으로 오름)
              -여름은 짧지만 백야 현상덕분에 식물이 자라는 데 유리함
              여름에 이끼가 풍성해지면 순록의 무리가 남에서 북으로 이동하기 시작함
              -순록을 유목하는 사람들도 남에서 북으로 거주지를 옮김





                  툰드라 지역의 생활 양식

              얼어붙은 극한의 땅에서 어떻게 의식주를 해결할까

              -툰드라 지역에서는 동물의 털과 가죽을 활용하여 옷을 지음
              -툰드라 지역 주민들은 육류 위주의 식생활(채소, 과일을 구하기 힘듬)
               ㄴ고기를 날것으로 먹음
                  -열량이 높은 지방질 섭취
                  -부족한 비타민 섭취
              고상 가옥을 짓는 이유
              -여름철에 언 땅이 녹으면 지표면이 질척거리는 상태가 됨(건물 불안정)
                ㄴ바닥에 자갈을 깔아도 열 차단 가능
              이글루는 먼 지역으로 사냥 갔을 때 짓는 임시 가옥




              툰드라에서는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을까

              툰드라에는 지하자원이 대량으로 매장되있음
              -시베리아와 알래스카 곳곳에 도시 형성
              -인류의 자원 문제 해결을 위한 미래의 땅이라 여김
              자원 개발로 원주민의 삶은 심각한 위험을 받고 있음
              -석유 개발중 흘러나오는 기름으로 생태계의 근원인 이끼 훼손
                -강물 오염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땅이 녹아 유목민이 이동하기에 어려움
              젊은 이누이트들은 전통적인 가치관과 현대적인 가치관 사이에서 방황
              -현대화된 주택 거주
              -생고기보다 가공 식품
              -바다표범의 가죽을 씌운 카약 대신 발동선을 이용
              -개썰매는 스노모빌로 대체
              이 때문에 원주민 고유의 삶이 급격히 변화





읽을 거리
(함영민의 하늘이야기-네이버-월간아웃도어: http://navercast.naver.com/magazine_contents.nhn?rid=1105&contents_id=42096)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