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6월 21일 화요일

9단원 문화의 이해와 창조


1. 문화와 일상생활

   

              문화의 의미와 구성 요소

          물질문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하고 생존하는 데 필요한 도구나 기술
          비물질 문화: 물질문화와 더불어 인가나 생활을 가능하게 하는 또 다른 요소
          ㄴ제도문화: 법, 제도, 예절, 관습 등과 같이 사화가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
          ㄴ관념 문화: 인간을 정신적으로 풍요롭게 해 주는 학문이나 종교, 예술 등

              문화의 특징

           문화의 보편성: 시대와 사회를 초월하여 문화 간에 공통적인 요소가 나타나는 특성
           문화의 특수성: 자신이 속한 자연환경과 사회적 상황에 따라 독특한 문화를 형성
                              해 나가는 문화적 특성
           공유성: 한 사회의 구성원들은 문화의 내용을 공유함, 이러한 문화의 속성
           학습성: 한 사회의 구성우너들이 문화의 내용을 공유할 수 있는 것은 그 사회에서                       태어나고 자라면서 후천적으로 문화를 배웠기 때문
           변동성: 문화 요소의 발명, 발견 또는 다른 사회로부터의 문화 전파로 인해 끊임없                     이 변화함
           축적성: 언어, 문자를 통해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해지면서 새로운 내용이 더                     해져 더욱 풍부해지고 정교해짐
           전체성: 한 사회의 문화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전체를 이루                     고 있는 문화의 속성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 문화 이해의 태도

             

              문화를 바라보는 다양한 태도

           자문화 중심주의: 자신의 문화만을 우수한 것으로 보고 다른 문화를 무시하는 태도
           문화 제국주의: 경제적으로 우위에 있는 나라가 다른 나라에 자신들의 문화를 강요                               하는 것
           문화 사대주의: 다른 사회의 문화를 수준이 높거나 옳다고 여기고, 이를 비판없이                                동경하는 태도
           문화 상대주의: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한 사회의 문화를 그러한 문화가 형성                                된 배경 속에서 이해하려는 태도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