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9월 5일 월요일

1단원 2. 문화의 세계화


2. 문화의 세계화

                 문화의 획일화와 융합

          문화의 세계화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을까

          한류: 대한민국의 대중문화가 아시아를 중심으로 해외에서 관심과 선호도가 높아
                지는 현상
                (예: K-POP, 스마트폰, 가전제품, 자동차)
          세계화: 국제 사회에서 상호 의존성이 증가함에 따라 세계가 하나로 통합되는
                   흐름이다
          문화의 세계화는 아주 오래 전부터 사람들의 이동과 함께 서서히 진행됨
          

          문화는 어떻게 획일화되거나 융합되고 있을까

          세계의 문화가 점차 비슷해지는 획일화가 나타나고 있다
          지역의 고유문화와 전파된 문화가 결합하여 새로운 문화를 구성하는 문화 융합
          (예: 불고기 피자, 라이스 버거)

                문화의 갈등과 문화의 창조

          세계화로 인해 문화는 어떻게 갈등하고 있을까

          서구화: 서구의 영향을 받아 기술, 산업, 경제, 정치, 식습관, 문화 등의 분야에 변화
                   가 나타나는 것
          어느 집단의 문화는 다른 문화를 받아들여 발전함
          하지만 낯설어 보이는 다른 문화를 받아들일때 문화적 충돌이 발생함
          세계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됨에 따라 문화간 충돌이 늘음
          근대 이후 문화 전파
               미국, 서부 유럽 ->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 아프리카 등
          개발 도상국 사람들은 세계화서구화로 받아들이기도 함 
          그 과정중, 전통, 서구 문명간에 충돌 발생, 아직도 진행중

          경제적 이유로 다른 문화 지역으로 이주하는 사람 늘음
            이슬람(북부 아프리카) -> 유럽
            ㄴ이때 두 지역의 문화적 차이로 인해 갈등을 겪는 일이 잦아짐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 이슬람 여성들이 부르카를 착용하게 된 원인을 종교, 기후와 관련하여 설명해 보자.

기후가 덥기도 하고 이슬람 문화가 여성들은 그렇게 하고다니라고 예전부터 그렇게 다니라고 배움 받아서.

2. 유럽에서 부르카의 착용을 금지하는 이유에 대해 말해 보자.

이슬람교도 여성 중 부르카를 착용하는 사람은 극소수에 불과하다고 해서.

3. 내 생각

부르카, 니캅을 착용하든 말든 그게 법으로 금지할껀 아니라고 본다. 피해를 주는 것도 아니고, 자기들이 종교따라서 입겠다는 건데 금지는 아니라고 본다. 그럴꺼면 크리스트교 수녀복도 입지 말라그러던가. 소수라고 차별하는것도 아니라고 생각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