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권 보장의 역사와 헌법
① 인권 보장의 역사
인권이란 무엇이며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인권: 모든 인간이 인간이라는 이유만으로 누릴 수 있는 기본적인 권리
모든 인간은 그 자체로 소중하고 귀한 존재
인간은
- 성별 - 나이 - 피부색 - 종교 - 국적 - 지위 등에 관계업이 자유롭고 평등하며
인간답게 살아갈 권리를 가짐
인권은 국가가 만들어 주거나, 일정한문서를 통해 보장받을 수 있는 권리가 아님
-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당연히 갖게 되는 자연권
- 인간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사람에게 차별 없이 부여되는 보편적 권리
- 인권은 타인에게 양도 불가, 타인의 인권을 빼앗을 수도 없다
인권 보장을 위한 노력은 어떻게 시작하고 전게되었을까
천부 인권 사상: 모든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하늘이 부여한 권리를 가짐
- 이 사상에 힘입어 사람들은 왕의 권력에 맞서 시민 혁명을 일으킴
- 생활의 자유, 정치 참여할 자유를 보장받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함
ㄴ 그 결과 자유권을 중심으로 하는 인권이 보장되기 시작함
(1세대 인권↑)
자본주의 발달 과정중 문제
- 빈부 격차 - 환경 오염
등과 같은 여러가지 사회 문제가 나타남
이후 독일이 바이마르 헌법을 제정, 사회권을 최초로 규정함
(2세대 인권↑)
국제 연합(UN)은 1948년 세계 인권 선언을 발표, 인권이 전 세계가 추구해야 할
가치임을 다시 한번 강조함
오늘날 인권 보장을 위하여 어떤 노력을 하고 있을까
지구촌 곳곳에 인권 문제는 어느 한 나라의 노력으로 해결되는 것이 아님
ㄴ세계의 많은 나라, 단체들이 서로 협력할 때 해결 가능
- 인류 평화의 권리
- 발전의 권리
- 환경에 대한 권리
- 재난으로부터 구제받을 권리
- 인류 공동의 유산 보호에 함께 참여,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권리
등이 강조됨
(3세대 인권↑)
1세대, 2세대 인권은 개인의 권리라는 측면을 중시함
3세대 인권은 집단권 또는 연대권이라고 불림
국제 사면 위원회, 그림피스 등 비정부 기구가 주도하여 국제 사회의 인권 문제를
서로 협의하는 일이 많아짐
② 인권 보장을 위한 헌법의 역할
헌법은 인권 보장을 위해 어떤 역할을 할까
기본권: 헌법에 보장된 인권을 기본권이라 함
시민들은 헌법에 따라 국가를 운영하도록 함
ㄴ국가의 권력이 국민의 인권을 침해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
우리나라 헌법 제 10조
- 국가는 개인이 가지는 불가침의 기본적 인권을 확인하고, 이를 보장할 의무를 진
다
- 헌법은 여러가지
기본권의 내용들을 규정하고 있음
헌법은 개인의 인권을 규정함, 하지만 그 내용이 추상적임
ㄴ때문에 여러 가지 법률을 만듬, 인권을 구체적으로 실현하려 함
법률이 본래 취지와 달리, 국민의 인권을 침해한다면 국회는